우선
$ls -l
System 폴더 이기 때문에 전부 root로 되어 있는 모습입니다.
을 사용하시면 폴더의 권한과 소유자가 나옵니다. (앞은 권한 뒤는 소유자입니다.)이것을 변경하기 위해서는
권한 변경의 경우 : $chmod 권한넘버 폴더
사용자(소유자) 변경의 경우 : $chown 소유자:그룹 폴더
을 사용합니다.
chmod에 대해 설명드리면 (man 설명 : 링크)
우선 간단히 설명 드리면 1/3(소유자)/3(그룹)/3(전체)으로 나누어 지게 되며
위에서 보시다 시피 d rwx r-x r-x 를 보시면
d는 directory의 약자로 파일의 형태를 의미 하며
rwx는 r:read w:write x:execute의 약자로
위의 rwx r-x r-x 의 경우
소유자는 읽기/쓰기/실행 전부 가능하며 그룹은 읽기/실행 가능하고 전체 도 역시 읽기/실행 만 가능 한 것을 나타 냅니다.
그리고 변경을 위해 한가지 설명 드려 야 할것이 권한에 관해서는 숫자가 부여 되게 되있습니다.
r:read => 4
w:write => 2
x:execute => 1
로 권한 병경을 위해서는 위의 숫자를 더하여 사용합니다.
예를 들어 deoker라는 폴더의 권한을 소유자 그룹 전체 모두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주기 위해서는 777이라는 숫자를 사용하며 명령은
$chmod 777(권한 넘버) deoker(폴더)
라고 써주시면 됩니다.
chown에 대해 설명드리면 (man 설명 : 링크)
소유자의 변경을 나타 내며 소유자와 소유 그룹에 대한 설정을 변경합니다.
맨위의 사진을 보시면 권한 뒤에 숫자 그리고 그뒤에 root root가 있으실것입니다.
첫번째는 소유자 두번째는 그룹을 나타 냅니다.
사용 방법은
$chown ID:Group 폴더 이며
처음에는 root였지만 후에
$chown dnejrwhd:dnejrwhd deoker
로 deoker 폴더의 소유자와 그룹이 바뀐것을 알수 있습니다.
*추가*
-R이라는 옵션을 주시면 하위 폴더 까지 모두 변경 됩니다.
그리고 위의 경우 제가 습관적으로 .으로 구분을 했내요; .으로도 됬다는게 더 신기하내요..